클라우드 컴퓨팅이란?
컴퓨팅 리소스를 데이터센터에 대량으로 구성하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On-Demand 형태로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
특징
- 리소스 공유
여러 사용자가 공유
- 신속한 확장성
스케일업, 스케일다운 -> 비즈니스의 성장이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.
- 주문형 셀프 서비스
관리화면을 통해 서비스 이용 -> 어디서나 업무 진행 가능
- 측정 가능한 서비스
이용한 만큼 비용 부과. 미사용 시스템 자원에 대한 비용 부담이 줄어든다
유형
클라우드는 구축 형태에 따라 Public, Private, Hybrid, Multi Cloud로 구분
- 퍼블릭 클라우드(Public Cloud)
퍼블릭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일반 대중과 기업에게 공개된 클라우드 서비스
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(Cloud Service Provider)가 운영하고,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이를 이용 - 프라이빗 클라우드(Private Cloud)
조직 내부에서 운영되는 클라우드 인프라. 조직 내부의 데이터 센터나 프라이빗 호스팅 서비스에서 운영
조직 내부에서 OpenStack, VMware, Hyper-V와 같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구축할 수 있음 - 하이브리드 클라우드(Hybrid Cloud)
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병행해서 사용하고 이 간에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기술
온프레미스 인프라와 클라우드 인프라가 통합되어 작동하는 환경
기업들은 기존의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유지하면서 클라우드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, 민감한 데이터는 온프레미스에 보관하고, 비용 효율적인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여 비즈니스를 확장할 수 있다 - 멀티 클라우드(Multi Cloud)
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들의 자원과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
서비스 모델
- IaaS(Infrastructure as a Service, 인프라 기반 서비스)기본적인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로, 가상화된 기본 인프라 자원(서버, 스토리지, 네트워크 등)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. 필요한 용량만큼 확장 가능한 리소스를 선택하고 구성할 수 있음
- PaaS(Platform as a Service, 플랫폼 기반 서비스)
IaaS에서 제공하는 인프라 위에 개발, 배포, 운영을 지원하는 플랫폼을 제공.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배포에 필요한 플랫폼(미들웨어,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, 개발 도구, 운영 체제, 라이브러리 등)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. - SaaS(Software as a Service, 소프트웨어 기반 서비스)
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모델. SaaS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량이나 구독 기반의 요금제를 사용.
클라우드 특징
- 규모의 경제에서 얻는 이점
대규모로 이용하면 할 수록 비교적 저렴하게 이용가능
대규모로 구성되어 발생하는 혜택이 고객에게 반환 - 손쉬운 가용성 확보
자체 시스템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- 빠른 프로비저닝 및 유연한 확장
빠른 서버 생성, 쉬운 확장으로 시간&비용 절감 - 인프라 유지 관리 부담 해소
안정적인 클라우드 사업자의 인프라 사용 => 사용자는 신경쓸 필요 없음 - 지속적인 기술혁신 및 사용
새로운 서비스가 있으면 배치만 하면됨 => 온프레미스로 구성하는것보다 빠르게 새 기술 적용 가능
가용성 : 서버와 네트워크 또는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
고가용성 : 서버와 네트워크 또는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장애 없이 정상 운영이 가능한 성질
무결성 : 데이터의 정확성, 일관성, 유효성이 유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