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FS란
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호스트에 있는 파일시스템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으로 하나의 서버에 디스크를 집중관리하고 그것을 공유하여 나머지 시스템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.
- sun microsystem 사에서 개발
- 분산처리환경의 RPC(Remote Procedure Call)를 사용하는 파일 및 자원 공유 시스템
- TCP/IP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/ 클라이언트 구조
- UNIX 운영체제간의 파일 공유 (최근에는 Windows에서도 가능하긴 함)
- 보안에 취약하므로 주의해서 사용 => 포트가 많이 열려야 된다 -> 보안이 취약하다
(version 4로 들어오면 포트 하나만 열어도 가능)
NFS 설치 (Amazon Linux와 Ubuntu 환경에서 진행)
1. ubuntu 20.04 nfs server 설치
sudo apt update
sudo apt install nfs-kernel-server
2. ubuntu 20.04 nfs client 설치
sudo apt install nfs-common
3. /etc/exports 편집
sudo vim /etc/exports
공유할 디렉토리 호스트주소(rw,no_root_squash) 저장

no-root-squash 루트의 자격으로 파일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마운트
root-squash 루트의 자격으로 파일시스템에 접근하면 anonymous uid/gid로 바꿔서 허가 (기본값)
4. 공유 시작
sudo exportfs -ar
5. aws 보안그룹에서 포트 열어주기
- 보안그룹에 허용할 포트 : tcp 2049, 111, 20048
cf) efs 를 쓸때면 2049만 열어주면 된다
5. Amazon Linux에서 nfs 설치
sudo yum install nfs-server
6. Amazon Linux에서 마운트
mount -t nfs 10.10.10.X:/root/nfs_dir nfs_dir
이때 10.10.10.x는 상대 쪽 ip다(Ubuntu 쪽 IP)
NFS란
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호스트에 있는 파일시스템의 일부를 자신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으로 하나의 서버에 디스크를 집중관리하고 그것을 공유하여 나머지 시스템들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.
- sun microsystem 사에서 개발
- 분산처리환경의 RPC(Remote Procedure Call)를 사용하는 파일 및 자원 공유 시스템
- TCP/IP 네트워크를 통한 서버/ 클라이언트 구조
- UNIX 운영체제간의 파일 공유 (최근에는 Windows에서도 가능하긴 함)
- 보안에 취약하므로 주의해서 사용 => 포트가 많이 열려야 된다 -> 보안이 취약하다
(version 4로 들어오면 포트 하나만 열어도 가능)
NFS 설치 (Amazon Linux와 Ubuntu 환경에서 진행)
1. ubuntu 20.04 nfs server 설치
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nfs-kernel-server
2. ubuntu 20.04 nfs client 설치
sudo apt install nfs-common
3. /etc/exports 편집
sudo vim /etc/exports
공유할 디렉토리 호스트주소(rw,no_root_squash) 저장

no-root-squash 루트의 자격으로 파일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마운트
root-squash 루트의 자격으로 파일시스템에 접근하면 anonymous uid/gid로 바꿔서 허가 (기본값)
4. 공유 시작
sudo exportfs -ar
5. aws 보안그룹에서 포트 열어주기
- 보안그룹에 허용할 포트 : tcp 2049, 111, 20048
cf) efs 를 쓸때면 2049만 열어주면 된다
5. Amazon Linux에서 nfs 설치
sudo yum install nfs-server
6. Amazon Linux에서 마운트
mount -t nfs 10.10.10.X:/root/nfs_dir nfs_dir
이때 10.10.10.x는 상대 쪽 ip다(Ubuntu 쪽 IP)